▲ 4일 오전 부산 동구 노동복지회관 앞에서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긴급 결의대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울산광역매일
|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비상계엄령 선포가 6시간 만에 종료된 가운데 부산에서 윤 정권의 퇴진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예고됐다. 부산 지역 시민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 퇴진을 촉구했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민주노총부산)는 4일 오전 민주노총부산본부 2층 대강당에서 `윤석열 계엄 폭거 현 시국 관련 부산시민사회ㆍ정당 대표자 비상회의`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 퇴진 관련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민주노총부산을 포함한 부산시민사회계, 야3당(더불어민주당ㆍ조국혁신당ㆍ진보당 부산시당)은 4일 오후 7시 부산 서면 일대에서 윤석열 정권의 퇴진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연다. 이들은 관련 집회를 매일 무기한으로 열 계획이다.
이날 부산 지역의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성명을 내며 윤석열 정권의 퇴진을 촉구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부산지부는 성명을 통해 "포고령, 경찰과 군을 동원한 국회 난입, 국회의원들의 국회 출입 통제는 위헌이자 내란죄 등 헌정 파괴 범죄에 해당한다"며 "윤석열과 하수인들은 즉각 파면되고 구속 수사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도 성명을 통해 "꼭두새벽부터 국민은 불안감에 떨어야 했고 일촉즉발의 위기감이 전 사회에서 증폭됐다"며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 의결 후 새벽 국무회의를 통해 6시간 만에 끝났지만, 어느 누가 이 사태를 단순 해프닝으로 치부할 수 있느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사회복지연대도 성명을 내고 "헌정질서를 파괴하고 국민을 위협한 윤석열과 김용현의 반헌법적 행위는 중대한 범죄"라며 "윤석열은 헌법적 가치를 부정하고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자신의 권력 유지와 사익 추구에만 몰두했다. 이러한 행태는 민주주의를 위협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윤석열은 즉시 대통령직을 사퇴하라"며 "윤석열과 김용현을 즉시 체포하고 내란죄로 관련자를 엄중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부산참여연대도 성명을 냈다. 참여연대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헌법과 법률이 정한 절차가 충족되지 않아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의 반헌법적 권력 남용을 규탄하며 이에 대한 모든 책임이 본인에게 있음을 인지하고 사퇴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황상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