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울산 지진 전문기관 필요하다
 
정종식 기자   기사입력  2015/04/28 [17:56]
울산은 양산 단층대 위에 있다. 포항에서 경주, 울산, 양산으로 이어지는 양산 단층대는 역사적으로 지진이 잦았다. 서기 779년 경주에 지진이 발생해 100여명이 죽고 건물이 무너졌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나온다. 1643년 울산에 지진이 발생해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구쳐 올라왔다’는 사실은 지진으로 인한 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2012년 서울대학교가 주최한 학술회에서 연세대 홍태경 교수가 “동해 역단층에 강진이 발생하면 10분 내에 지진 해일이 울산, 부산해안에 도달할 수 있다”고 했다. 울릉도 해저에서부터 제주도까지 남북으로 길게 단층이 뻗어 있는데 이 단층이 2011년 발생한 일본지진 때문에 비정상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게 홍교수의 설명이었다. 일본 쪽에서 밀어붙인 힘 때문에 한쪽 단층이 다른 단층위에 올라 앉아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어긋난 부분이 외부의 힘에 의해 쪼개지면 해저지진이 발생하고 거기서 시작된 해일이 울산지역을 덮친다는 이야기다. 홍교수 말대로라면 울산은 양산 단층대 외에 울릉분지 역단층이란 또 다른 지진 위험지대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원전과 석유화학공단이 밀집해 있는 울산으로선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지난 수년간 ‘울산 지진 가능성’을 암시하는 조짐은 여러 차례 있었다. 2010년에는 한해 동안 무려 60회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 2012년에는 3월19일부터 27일까지 9일 동안 다섯 차례나 해저지진이 발생했다. 이렇게 빈도가 잦자 울산발전연구원이 울산지역의 지진이상 징후에 대비해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여러 번 주장했다. 특히 울산은 원전과 석유화학공단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반응은 무디기 짝이 없다. 지자체가 채근하고 지역 국회의원들이 닦달할 당시는 “적극 검토 하겠다”고 하다가 시간만 지나면 나 몰라라 한 게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가 아무리 아우성을 쳐 봤자 동남 쪽 어느 지방의 푸념정도로 여기고 있으니 보통 일이 아니다. 그러니 정부의 이런 안일한 태도를 그냥 지켜보고만 있을 순 없다. 울산시민들에게 이 문제는 생명과 직결된 일이다. 정부의 조치만 기대할 게 아니라 우리 스스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울산에 지진대비 연구기관을 설립해야 한다. 울산 기상대를 확충·개편해 활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5/04/28 [17:56]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