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농산물 직거래 판매장 더 늘려야
 
편집부   기사입력  2017/01/19 [17:55]

 지난해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거래한 판매실적이 2015년 85억원에서 41% 늘어난 120여억 원이다. 1년 새 판매액이 거의 절반 가까이 늘었다면 올해도 더 증가할 기능성이 크다. 이렇게 붐을 타기 시작했을 때 밑자리를 깔아 줘야 한다. 특히 지역 농산물(로컬 푸드)직매장을 더 늘려야 한다. 지난해 1천개 이상의 농가가 이 직매장을 이용했다.


농산물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하면 무엇보다 싼 값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사실 전통시장 채소류 가격 일부에는 ‘경쟁 가격’이 붙어 있다. 시장 상인들이 임의로 책정한 값에다 또 ‘상승 가격’을 덧붙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요즘처럼 계란 값이 폭등할 때 미리 다음 가격을 예상하고 값을 매기는 식이다. 그러다 보면 산지 가격과 소비자 가격 차이가 비정상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직거래의 경우 당일 형성된 가격에 물건을 구입할 수 있다.


생산 농가가 직접 물건을 판매할 경우 상품에 대한 신뢰성 확보도 가능하다. 같은 생산자가  같은 장소에서 농산물을 판매하기 때문에 그들이 신용을 지킬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대형 마트나 백화점에서 농산물을 구입할 때 해당 판매처를 신뢰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생산자의 인격을 믿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새로운 판매 루트를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비자가 직판장에 나오지 않아도 직접 가정으로 배달하는 방식이 나올 수 있다. 


문제는 이들에 대한 장소 제공이다. 아직은 농협이나 시민단체, 지자체가 이들을 유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거래되는 품목이나 거래량이 매우 제한 적이다. 또 시기도 편중성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설·추석 명절에만 반짝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식이다. 이 보다 생산자가 연중 임의로 물건을 내다 팔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제대로 알리는 홍보 효과도 필요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중간 마진을 배제한 농산물 직거래가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지원 대책이나 활용방안은 미미한 상태다. 한마디로 ‘눈요기 감’정도로 보고 있다. 시세(市勢)가 울산 정도라면 상설 직판장이 30여 곳은 돼야 한다. 그래야 소바자들이 언제 어디에 가면 어떤 농산물을 싸게 구입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7곳으론 적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7/01/19 [17:55]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