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설>국가산단 안전관리 지자체에 일임해야
 
편집부   기사입력  2018/03/12 [20:48]

2012년 경북 구미 불산 유출사고가 발생했을 때 총괄하는 기구가 없어 관련기관들이 제각각 움직였다. 그러다보니 사고현장에 어떤 독극물이 얼마나 유출됐는지 모른 채 경찰ㆍ소방병력이 투입돼 그들 중 일부가 독가스에 노출되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사고 현장에 내려온 중앙부처도 한 군데가 아니어서 혼란만 부추겼다.


대형 안전ㆍ재난 사고일수록 통합적이고 직접적인 지휘ㆍ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동일한 사고를 수습하면서 정부 부처끼리 업무가 이중, 3중으로 중복돼 오히려 일을 더 키운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공공기관이 신속하게 사고 현장에 투입돼 사고를 처리해야 함에도 중앙부처에 일일이 보고하고 그쪽에서 지시를 내릴 때까지 기다리다 희생자가 늘어난 경우가 한둘이 아니다.


수백명의 희생자를 낸 세월호사고가 그 한 예다. 사고가 나자 해양경찰, 민간 잠수부, 심지어 해군 특수부대 까지 총 동원돼 우왕좌왕하는 바람에 `배가 산으로` 가고 말았다. 기관마다 생각하고 판단하는 바가 다르니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가 없었던 건 당연한 일이다. 그로인해 희생자가 더 늘었다는 비난이 빗발쳤고 결국 해양경찰이란 정부기관 하나가 없어진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도 대형 재난ㆍ안전 관리체계를 효율화 하는데 미온적이다. 사고가 발생해 인명피해가 나고 지방 주민들이 비난을 쏟아내면 잠시 짓시늉을 하다 얼마간 시간만 지나면 `모르쇠`로 일관한다. 주무부서 장관이나 정부 고위관리들이 울산에 들러 `지자체 안전관리 전담`에 동의한 게 어디 한두 번인가.


울산 국가 산단에는 40~50년 된 설비가 수두룩하다. 지난 1960년대 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무계획적으로 공장들이 들어서는 바람에 이들 지역에선 언제든지 `제2의 텐진항`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지하 관로가 거미줄처럼 얽혀있고 지상관로는 부식된 부분이 곳곳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 한 곳만 터지면 연쇄 폭발을 일으키고 만다.


멀리 있는 중앙부처가 이를 일일이 알 순 없는 일이다. 또 안다고 해도 당장 사고 가능성을 눈앞에 두고 있는 지자체만큼 절실하게 통합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이런 사고를 사전에 점검ㆍ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려면 가까이에 있는 해당 지자체가 그들의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것이 옳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8/03/12 [20:48]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