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해양플랜트 사업 이대로 접을 건가
 
정문재 뉴시스 부국장   기사입력  2018/07/18 [18:06]
▲ 정문재 뉴시스 부국장    

석유 개발 역사는 요지경이다. 석유가 조명 연료로 쓰이기 시작할 때부터 고갈(枯渴) 주장이 끊이지 않았다. 미국의 일부 지질학자들은 19세기 말 "석유의 출현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며 "머지 않아 석유는 곧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런 주장은 곧 헛소리로 드러났다.

 

미국 동부는 물론 중서부 지역에서도 기름이 쏟아졌다. 미국은 내수를 충족하는 것은 물론 수출에 나서기도 했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또 다시 석유 고갈 우려가 고개를 들었다. 1차 세계대전은 인류 최초의 `기계화 전쟁`이다. 탱크, 트럭, 비행기를 대거 전장에 투입했다. 미국은 연합군을 지원하기 위해 석유를 유럽에 우선적으로 투입했다. 미국에서는 심각한 유류부족 사태가 빚어졌다. 1918년 1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 미국의 휘발유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윌슨 대통령은 석유 부족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휘발유 없는 일요일` 운동을 펼쳤다.

 

그는 "저도 걸어서 교회에 가겠습니다"라고 선언했다.  미국은 포드의 T 모델 보급에 힘입어 자동차 대중화 시대를 맞았다. 1914년 이후 6년 동안 미국의 자동차 등록대수는 다섯 배로 늘어났다. 석유가 곧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졌다. 윌슨 대통령은 "국내든 해외든 휘발유를 확보할 길이 없다"고 탄식했다. 이번에도 석유 부족 사태에 대한 우려는 오래 가지 않았다. 새로운 유전이 개발되고, 최신 채굴 기술이 등장했다.

 

특히 `탄성파 탐파 기술(seismic techonolgy)`은 석유 탐사 혁명을 가져왔다.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릴 때 나오는 음파를 이용, 지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석유 또는 가스가 매장된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길을 열었다.  석유 탐사업체들은 이 기술에 힘입어 막대한 매장량을 가진 유전을 잇달아 발견했다. 텍사스 유전이 대표적인 예다. 1931년 동부 텍사스 유전이 발견되자 `석유 과잉`이라는 표현까지 나왔다.  더욱이 경기마저 꼬꾸라졌다. 대공황이 닥치자 석유 수요는 크게 쪼그라들었다. 공급은 늘어난 반면 수요는 축소됐다. 일부 주유소에서는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차에 기름을 넣으면 통닭을 한 마리씩 나눠주기도 했다. 

 

최신 기술은 물론 새로운 곳에서 석유를 찾으려는 시도도 끊임없이 이어졌다. 육지가 아니라 호수나 바닷가에서 석유를 시추하려는 노력이 펼쳐졌다. 이에 따라 베네수엘라 마라카이보(Maracaibo) 호수와 미국 루이지애나주 호수에서도 석유를 생산했다. 일부 업체는 바다로 눈을 돌렸다. 커맥기(Kerr-McGee)가 선두주자였다. 커맥기는 세계 최초의 해저 유전 개발업체다. 기존 메이저업체들은 해양 플랜트를 통한 석유 개발은 불가능하다고 포기했다.  커맥기는 게임의 룰을 바꾸기 위해 해저유전 개발에 운명을 걸었다. 멕시코만에 석유시추선을 투입했다. 육지에서 24㎞ 떨어진 난바다였다. 제2차 세계대전 때 버려진 배와 바지선을 얼기설기 묶어 플랫폼을 만들었다. 


현재 기준으로 평가하면 해양 플랜트라고 볼 수도 없다. 그런 시설로 석유를 찾아낸다고 하면 정신병자 취급을 당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당시 기준으로는 혁신적이었다. 커맥기는 1947년 마침내 석유를 발견했다. 언론은 `멕시코만의 쾌거`, `혁명`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커맥기는 시작에 불과했다.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앞바다에서도 석유를 찾아냈다. 기술이 혁신을 거듭하자 마침내 심해 유전 개발에 착수했다. 영국과 노르웨이 사이의 북해에서도 유전을 찾아냈다.  석유 개발은 기술과 가격의 함수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석유 개발 가능성은 높아진다. 석유가격이 치솟으면 유전의 경제성도 상향 조정된다. 석유 값이 쌀 때는 거들떠보지도 않지만 석유값이 오르면 앞다퉈 달려든다.  해양 플랜트 산업이 발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석유 가격이 오르면 어설픈 해양 플랜트라도 팔아먹을 수 있다. 하지만 유가가 떨어지면 다르다. 잘 만든 설비라도 온갖 핑계를 대가며 인수를 거부한다. 석유를 생산해도 플랜트 원가를 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내 조선업체들이 해양 플랜트 사업으로 대규모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적자 때문에 사업을 접는다면 비싼 수업료는 매몰비용(sunk cost)로 전락하고 만다.  일부 조선업체는 해양 플랜트 사업을 축소할 움직임이다. 실패했다고 발을 빼면 도약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실패 비용은 국민들이 세금으로 부담한다. 실패를 통해 사업보국(事業報國)을 모색해야 한다. 사업보국을 외면하는 기업인은 매국노나 다름없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8/07/18 [18:06]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