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WSJ "위안화 약세, 환율전쟁 아닌 경기 부양책 산물"
 
편집부   기사입력  2018/07/26 [18:17]

 최근  중국의 위안화 약세는 미중무역전쟁 과정에서의 보복카드가 아니라 갈수록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중국 경제를 부양하기 위한 통화정책의 산물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중국 위안화 약세 정책의 타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이 아니라 경제라고 보도했다. 그렇지 않아도 둔화 조짐을 보이던 중국 경제가 설상가상으로 미중무역전쟁에 의한 타격까지 겹치면서 악화 기미를 보임에 따라 통화당국은 경기 부양책을 펴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위안화 약세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위안화는 25일 중국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6.7784위안에 거래됐다. 이는 1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는 최근 석 달간 6.9%나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통화 가치가 굴러 떨어지는 바위처럼 급락하고 있다"라면서 환율 조작 가능성을 제기했다. 


WSJ은 그러나 위안화 가치의 하락이 미국을 겨냥한 인위적 환율정책의 결과는 아니라고 진단했다. 한 중국 정부 외환당국자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현재의 무역전쟁을 환율전쟁으로까지 비화하고 싶은 의도를 지니고 있지 않다"라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최근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한 경기 둔화 조짐에 대처하기 위해 적극적인 부양정책을 내놓으면서 그 결과로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는 게 WSJ의 분석이다. 최근 중국의 민간소비는 크게 위축되기 시작했다. 기업들의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례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고속도로 건설과 각종 공장 설비 투자도 줄어들고 있다.


WSJ는 중국 정부가 이처럼 총체적인 경기 둔화 조짐에 대처하기 위해 한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해온 디레버리징(부채 감축) 정책을 중단한 뒤 다시 경기부양책으로 선회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23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를 통해 5020억 위안(약 83조4900억원)을 중국 금융시장에 공급했다. 이는 중국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우려에 대응으로 풀이되고 있다. 


WSJ는 위안화 약세는 또한 시장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전날 시장의 환율 움직임을 바탕으로 매일 기준 환율을 고시하고 있다. 장밍 중국 사회과학원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위안화 약세는 경제 펀더멘털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8/07/26 [18:17]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