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전년 울산지역 고령인구 10%…가장 낮게 조사
생산가능 인구 처음 감소
고령인구 비중 14%선 통과
사회 생산 동력 감소 우려
 
김조영 기자   기사입력  2018/08/27 [19:55]

 지난해 울산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낮게 조사됐다.
시도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남이 22%로 가장 높았다. 경북과 전북이 각각 19.0%, 강원은 18.0%에 달했다.


서울의 고령인구는 13.7%였고 세종은 9.3%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지난해 한국의 생산가능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하고 고령인구 비중은 14%선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예견됐던 `인구절벽` 현상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15~64세 내국인은 3천619만6천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11만6천명) 감소했다.
15~64세 인구는 생산가능인구로 경제활동을 펴기에 적당한 나이대의 인구집단을 뜻한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 그 사회의 생산 동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우리사회의 생산가능인구는 지난해 처음으로 감소했다.
지난 2016년 12월과 지난해 1월 사이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것이 통계당국의 설명이다.
정부 예측치보다 줄어든 속도는 더욱 빨랐다.


통계청이 지난 2016년 12월 내놓은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에서는 생산가능인구가 2016년 3천762만7천명에서 이듬해 3천762만명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감소폭은 훨씬 더 컸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든 대신 고령인구는 늘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는 711만5천명으로 5.0%(34만명) 증가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13.6%에서 지난해 14.2%로 늘었다.


노인인구 비중이 14%를 돌파,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유엔(UN)은 노인인구 비중이 7~14%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문제는 전세계적으로도 비교 대상을 찾기 힘들 정도의 빠른 속도다.


한국은 지난 2000년 고령인구 비중이 7.0%를 기록하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는데 불과 17년 만에 다음 단계로 뛰어올랐다.
일본의 경우 24년(1970년~1994년)이 걸린 점을 감안하면 우리사회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된 셈이다.


지난해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3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2.0%(13만7천명) 감소했다.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넘어선 것은 2016년이 처음인데, 1년 만에 약 50만명가까이 격차가 벌어졌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07.3으로, 2016년 100.1에 비해 급격히 높아졌다.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할 65세 이상 인구를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19.7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할 유소년 인구를 뜻하는 유소년부양비는 18.6에서 18.3으로 낮아졌다.
 서울 김조영 기자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8/08/27 [19:55]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