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중장기적 `기본 소득형 사회복지체계` 로드맵 만들자(1)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기사입력  2019/05/30 [20:08]
▲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    

서울의 한 자치구에서는 출산장려금을 아이를 하나 더 낳을 때마다 20만원에서, 100만원, 200만원으로 증액해서 지급한다. 인근에 있는 자치구에서는 둘째부터 20만원을 지급한다. 또 다른 복지를 보자. 어느 한 구청에서는 선도적으로 `어르신 공로수당`을 지역상품권 형태로 월 10만원씩 연 120만원을 지급한다. 인근 구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이를 받지 못한다.

 

그러다보니 한 아파트인데 어느 동 주민은 120만원을 받고, 인근 다른 동 주민은 하나도 못 받는 상황이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것은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다. 무상급식을 일부 시도에서 하다가 전국화 됐듯이 일부 구에서 선도적으로 시행하고 다른 구에서 따라감으로써 `보편`적으로 시행하게 되는 과도기적 현상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같은 정당 소속이고, 또 차이를 보이는 자치구들이 모두 같은 정당 소속인 경우에는 더욱 미묘한 반감을 지역주민들 사이에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확대되고 있는 복지에 대해 보수적 입장에서는 `현금 복지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면서 폐지를 주장하기도 한다. 어떤 형태로든 조정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어떤 이는 중앙정부가 현금복지 배분의 큰 틀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그것을 지역에 적용하는 수준에서 맞춤형 편차를 보이는 정도로 하자는 주장도 제기한다.

 

이 문제에 대해서 우리는 정면으로 고민을 해야 할 때가 되어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현재 한국에서 사회복지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는 객관적으로 복지제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관적으로도 국민들이 대단히 높은 평등주의적 기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복지 눈높이가 그만큼 높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들을 상대로 득표 경쟁을 하는 선거가 있게 되면 다종다양한 사회복지 확대정책이 공약으로 출현한다.


전국선거에서도 그러하고 지방자치 선거에서도 예외는 없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기존의 복지형태 외에 최근에는전면적인 기본소득이 아니더라도 낮은 수준의 기본소득형 복지공약이 제시되고, 부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성남, 서울, 경기 등에서 도입된 청년수당 같은 것을 연상하면 될 것이다(서울시교육청에서도 `학교밖 청소년 수당`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런 변화는 국민들의 복지 부족에 따른 불만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당연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사실 민주주의라는 제도가 평등에 대한 지향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지만, 민주주의라는 한 구성요소인 선거 자체가 다수 국민들의 지지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쟁과정이므로 이전에 시행하지 못했던 복지공약이 확대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작년에 `보편` 복지를 반대하던 자유한국당에서 아동수당을 더불어민주당보다 더 확대하자고 주장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확대과정이 총체적이고 중ㆍ장기적인 플랜없이 후보자의 주관적 판단과 경쟁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중첩적이고 파편적인 복지의 확대과정으로 진행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본소득형 복지도 초기 단계이고, 더구나 지금은 기존복지의 절대적인 결여상태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으나, 잘못하면 전통적 복지는 복지대로 확대되고, 기본소득은 새롭게 여러 지자체에서 다종다양한 형태로 도입되는 `짬봉형`이 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전통적 복지의 영역도 노인 목욕 및 이ㆍ미용료, 장수수당, 다독지원금, 임산부 교통비, 난임 부부 한약값 등 다양한 명목으로 확대되고 있다. 원래 기본소득의 도입은 전통적 복지가 갖는 `전달` 비용의 과다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기존 복지체계의 재구성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가능성도 크다. 당연히 전통형 복지와 새로운 기복소득형 복지 간의 체계성이나 연계성, 중ㆍ장기적인 종합성도 부족하다. 


이런 점에서 `수요자`인 국민의 삶의 과정, 생애주기 전체를 총체적으로 보면서, 전통적인 복지와 미래형 기본소득형 복지를 종합한 미래지향적 `기본 소득형 복지체계`를 새롭게 상상하고 중ㆍ장기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기본 소득형 사회복지체계의 중장기적 재설계`라는 것이 추상적이라고 느껴질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 4년여의 교육감직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것 중의 하나는 `교육복지`도 `기본소득형 복지`라는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재설계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현재 저소득층의 아이들의 교육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교육복지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교과서 지원, 방과 후 학교 지원, 컴퓨터와 통신비 지원, 최근에 확대되는 교복 지원, 수학여행비 지원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교육복지의 전달을 위해 지역사회전문가, 사회 복지사 등의 지원인력이 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9/05/30 [20:08]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