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조 칼럼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 서울` 선호 현상과 입시제도
 
신영조 논설위원 시사경제 칼럼니스트   기사입력  2019/11/25 [17:11]
▲ 신영조 논설위원 시사경제 칼럼니스트  

2020년도 수능시험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다. 매년 벌어지는 대학교 입학전쟁을 보노라면 `태정태세문단세`처럼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라고 학창시절에 외우고 다녔던 것이 기억날 것이다. 수험생 본인이나 학부모들은 이렇게 전국 TOP10 대학을 흔히들 외우곤 했다.

 

우리나라 `인서울(in Seoul)` 대학 입학은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꿈꾸는 일이다. 필자는 `예비고사 세대`라 마찬가지로 수능과 비슷한 예비고사를 봤었고 재수를 했었는데 수험생활이 무척 외롭고 힘들고 대학이 전부라는 생각으로 살았던 기억이 새롭다.

 

또 시간이 지나 보니 왜 이렇게 목매달았나 싶기도 하면서 가고 싶었던 대학에 대한 아쉬움은 크게 없는 것 같다. 결국 대학이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인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서울에 사람과 돈이 몰리면서 지방은 고사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지방 대학은 존폐의 기로에 놓였고, 주변 상권은 붕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인서울` 선호 현상은 주거와 교육, 생활 인프라 등 삼박자가 잘 갖춰진 서울에 사람과 돈이 몰리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서울 블랙홀이 지방의 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는 건 아닌지 걱정이다.


지방의 위기는 학령인구 감소와 사람들의 `인서울` 선호 때문이다. 내년 대학에 입학 가능한 학생 수는 47만여명, 2024년이면 10만명이 줄어든다. 양질의 일자리가 몰려있는 수도권의 지난달  청약 1순위 경쟁률이 206대1에 달하는 아파트가 나오지만 지방에서는 청약자가 아예 없는 아파트도 나온다.

 

심각성을 느낀 정부는 공기업과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거나 채용 시 지역인재를 우대하는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인서울`에 텅빈 지방의 대학가ㆍ부동산은 고사위기다. `인서울` 현상이 지방 소멸이라는 재앙을 초래하기 전에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나라 대학 입학 전형 방식은 광복 이후 총 18차례 바뀌었다.

 

크게 보면 ▲예비ㆍ본고사 시대(~1981학년도) → ▲학력고사 시대(1982학년도~93학년도) → ▲수능시대-본고사 부활(1994~97학년도) → ▲ 수능시대-수시전형의 도입(1997~2007학년도) → ▲ 수능시대-수시전형의 확대(2007학년도 이후) 순이다. 도입과 폐지를 반복하며 오락가락하는 교육정책에 몸살을 앓은 것은 수험생과 학부모였다.

 

`개혁` 또는 `개선`이라는 이름으로 새 제도가 시행될 때마다 시험장 안팎의 입시 풍경도 달라졌다. 입시 당사자들이 겪은 불안과 혼란, 좌절과 환희의 모습은 반복적이다. 2007학년도 이후에는 수시전형의 확대로 수시 모집 비율은 2007년 절반을 넘어 섰고, 2020학년도엔 80%에 육박할 정도로 커졌다.

 

이 시기 노무현 정부는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했다. 내신과 함께 동아리, 학생회, 봉사 활동, 자기소개서, 소논문, 경시대회 입상 경력 등 다양한 평가항목을 반영하며 지속적으로 확대된 입학사정관제는 과도한 스펙 경쟁을 유발한다는 지적에 따라 박근혜 정부 때 일부 평가 항목을 제외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으로 바뀌었다.

 

그 후 수시전형은 학종을 비롯해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실기전형 등 크게 네 가지로 자리 잡았다. 2010학년도 이후에는 논술전형에 몰리는 수험생들로 `난장판(?)`이다. 논술 시험 당일 복수의 대학을 지원한 수험생들을 수송하기 위해 오토바이 부대까지 등장했다 내신과 수능의 반영 비율이 적거나 아예 없는 논술전형은 지속적인 스펙 관리 대신 시험 한 번으로 `승부`를 볼 수 있어 `천하제일 논술대회` `과거시험`이라는 별명을 얻은 것도 그 때문이다.

 

2015학년도 한양대 논술전형은 경쟁률이 80:1을 넘어서기도 했다. `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라지만 백년은 고사하고 4년마다 한 번씩 입시 판을 뒤흔든 셈이다. 최근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의 입시 부정 의혹을 계기로 19번째 변화를 앞두고 있다. 과정까지도 공정한 `입시제도`를 기대한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9/11/25 [17:11]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