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안동·예천 산불, 강 건너 불 아니다
 
울산광역매일   기사입력  2021/02/23 [16:44]

 

 21일 발생한 경북 예천·안동 산불로 각각 255㏊, 200㏊의 임야가 소실됐다. 축구장 13~15개 개 크기의 삼림이 삽시간에 사라진 것이다. 이 보다 더 큰 문제는 한번 소실되면 같은 지역 생태계를 복원하는데 30년 이상 걸린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런 산불 소식들이 울산에 결코 낯설지 않다. 바로 지난해 3월 울주군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해 200㏊를 태웠고 산불 진화에 나섰던 소방 헬기 한 대가 추락해 부 조종사가 목숨을 잃었다. 강 건너 불이 아닌 것이다. 

 

 소방청이 이번 경북 산불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던 이유 중 하나가 기후 요인 때문이었다고 한다. 지난 겨울동안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데다 강수량이 턱없이 모자라 임야가 바싹 말라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산불이 급속도로 번질 수 있었다고 한다. 또 겨울철에 좀처럼 나나타지 않는 강풍현상도 이번 화마에 한몫했다는 소식이다. 경북 예천·안동 산불 당시 바람세기가 초속 11∼13m였다. 지난해 울주군 웅촌 산불 당시에도 초속 12~20m의 강풍이었다. 전국 어디서 발생하는 산불이든 이런 공통분모가 있는 것이 요즘 현상이다. 

 

  하지만 이런 피해는 외면적인 것에 불과하다. 생활환경과 생태계에 미치는 실질적인 악영향은 이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산불로 피폐된 산림을 복원하는 데 30년이 걸린다. 생태계가 원상회복되기 위해서는 100년이 필요하다. 산이 불에 타 버리면 자연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돼 홍수로 인한 산사태는 물론 풍해 등에 대응하지 못한다. 산과 숲이 가지고 있는 물 정화 기능이나 중화작용도 없어진다.

 

  산불 폐해가 이렇게 광범위하고 깊은 반면 그 원인은 지극히 단순하다. 등산객들이 무심코 버린 담뱃불과 농촌지역의 논밭두렁 태우기, 어린이들의 불장난, 쓰레기 소각 등이다. 수십 년 동안 길러 온 산림을 한꺼번에 삼켜버리고 자연과 인간에게 무한한 피해를 가져다주는 산불도 알고 보면 이렇게 단순한 부주의에서 비롯된다.

 

  최근 행정 당국이 산불 발생을 미리 막기 위해 갖가지 대책을 내 놓고 있지만 이런 요인들을 일일이 막을 순 없다. 물론 산불 감시원을 증원한다든지 감시카메라를 대폭 늘려 산에 들어오는 사람들을 세밀히 관찰할 순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난해 웅촌 산불이나 최근 전국 각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그 원인을 미리 찾아낸다는 게 말처럼 그리 쉽지 않다.

 

  산불방지는 결국 지역민들의 몫이다. 지자체나 관련기관에만 맡겨 둘 일이 아니다. 행정력을 아무리 동원해도 사람이 주의하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는 게 산불이다. 조그만 요인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가능성을 미연에 없앨 수 있는 건 결국 사람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1/02/23 [16:44]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