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전국철도노동조합이 4일 총파업 여부 등을 논의했다. 계엄령이 선포 6시간 만에 해제되면서 철도노조는 5일 총파업을 예정대로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철도노조는 4일 노사 실무 교섭에 앞서 긴급회의를 열고 총파업에 대한 논의했다.
철도노조는 4조 2교대 전환과 정부 기준에 따른 기본급 2.5% 정액 인상, 231억원의 체불임금 해결(기본급 100% 성과급 지급), 개통노선에 필요한 인력 등 부족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중 기본급 2.5% 인상과 231억원의 체불임금 해결이 관건이다.
올해 정부가 제시한 공공기관 임금인상 가이드라인 2.5% 인상과 기본급 100%의 성과급 지급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는 가장 민감한 사안이다. 이 같은 논란은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코레일은 기획재정부의 `기본급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정부지침`에 따른 임금구조 단순화 작업을 10개월 늦게 정리한 탓에 정부로부터 `영구 징계`라는 대가를 치르고 있다.
이에 따라 코레일은 기본급의 80%를 기준으로 성과급을 지급받고 있다. 뒤늦게 탄생한 공기업들도 기본급 100%가 기준이다. 철도 경쟁사인 수서발고속철도(SRT) 운영사인 SR도 예외는 아니다.
노조는 요구안이 받아지지 않을 경우 총파업을 강행할 방침이다.
총파업시 열차운행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어 노사 모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이번 파업의 가장 큰 요구사항은 인력충원과 기본급 인상이 가장 큰 의제가 될 것이다"라며 "이같은 의제에 대해 노사 실무자들이 막판 실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철도노조는 오는 5일 서울과 부산, 대전, 광주송정역 등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
철도노조 파업으로 한국공항공사가 4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ㆍ운영하기로 했다. 한국공항공사는 이날 본사에서 전국 14개 공항장 및 경영진이 참여한 `특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철도노조가 5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국내선 항공기를 이용하는 승객이 증가할 것에 대비한 것이다. 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