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광식 논설위원 교육학 박사 © 울산광역매일
|
"천하를 얻고도 건강을 잃어버리면 모든 것을 잃어버리는 것이다"라는 경구는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개개인의 건강을 위해서 누구든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을 보장받아야 하며, 합당한 절차에 따라 조치 받는 일이 중요하다. 이러한 헌법 정신을 바탕으로 공교육 기관도 지ㆍ덕ㆍ체 교육을 강조했고, 체육교육 영역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건강과 성장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국민은 내 자식의 건강을 지켜주고 무럭무럭 잘 자라도록 도와주는 누군가가 곁에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기꺼이 세금을 내고 자녀를 학교에 보낸다. 공교육 기관에 자녀를 믿고 보내는 학부모의 마음은 절대적이며 순결하고 지극히 당연한 권리이다. 그런데 건강과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서 보여주는 반응은 뭔가 미흡하다.
지난 8월28일 교육부가 학생 건강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7년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의 평균 신장은 151.9cm이었는데 6년이 지난 2023년 153.3cm, 여학생은 152.3cm에서 153.2cm로 변화했다. 비만은 초중고 전체 학생 기준 2017년 23.9%, 2021년 30.8%, 2023년 29.6%로 나타나, 전체의 30%가 비만군에 속한다. 하지만 교육부는 변화와 현상에 관해서만 설명했을 뿐 이에 대한 대책과 전망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울산광역시 교육청의 경우, 학생들의 건강을 위한 교육은 `조화롭게 성장하는 학생역량교육` 중 `조화로운 성장을 돕는 문화ㆍ예술ㆍ체육교육`으로 언급되어 있다. 즉, 다양한 신체활동 참여로 건강한 성장과 조화로운 인성을 함양하겠다는 것이다. 세부 항으로 건강체력교실 운영 지원, 맞춤형 스포츠 활동 공간조성, 학교체육 환경 확충 및 개선, 꿈이음 스포츠 교실 지원 등으로 돼 있다. 그런데 이런 내용들은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개개인의 맞춤형 교육이 아니라, 환경 개선이나 정책 지원에 우선을 두는 느낌이 강하다.
근무 환경의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공직자로서의 소명을 외면하지 않는다면 교육 담당자는 변화에 대처할 능동적인 자세와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대세가 되어 시대를 변화시키고 있다. 모두가 변화에 대해 말하며 변화된 미래의 모습을 미리 알기를 원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우리의 질문에 대해 일정 부분 전망해내고 해결하는 단계까지 왔다. 학생 개개인의 성장 발달을 생성형 인공지능에게 질문하고 미리 답을 얻어 대책을 미리 생각하면 어떨까?
이미 몇몇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학생 키 키우기 지방 조례`이다. 대전시 의회가 전국 최초로 `학생 키 성장을 지원할 조례 제정`을 추진하였다. 조례 내용에는 학생성장판 검사 지원을 비롯한 키 성장 맞춤형 급식 식단 개발ㆍ운영, 키 성장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개발ㆍ운영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키 성장을 가정 영역으로만 두지 말고 공교육 제도 교육 속으로 들여와 학생 건강에 도움을 주는 생각은 신선하다. 공교육 제도 기관에서는 매년 누적된 정보와 자료를 축적하여 학생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하고 차후 평생 건강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다. 비만도의 경우에도 현재 학생 개인의 비만도를 바탕으로 하여 몇 년 후 예상되는 비만도를 정확히 알고 식생활 개선 등 미리미리 대비한다면 학생들의 성장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실질적인 아동 복지와 건강 증진 및 성장 발달에 예산이 옳게 쓰여야 한다. 현금성 복지를 남발하는 교육청에 `예산 삭감` 불이익을 주겠다는 지방 교육 재정 교부금법 시행 규칙과 시행령 개정안을 교육부가 입법 예고했다. 2027년부터는 전국 시도교육청 17곳의 예산 사용을 평가해 현금성 복지 지출이 많은 상위 8곳은 교부금을 10억원씩 삭감한다는 내용이다. 쓴 웃음이 나오는 입법 예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