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수의 시와 맑은 글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제422회> 민들레꽃
 
정성수 시인   기사입력  2022/05/01 [17:22]

내가 밟고 지나간 자리에 꽃이 피었다는 것을 몰랐다

 

돌아오면서 

꽃을 보고 알았다

 

내 발걸음 소리 찍힌 자리마다 지천으로 

민들레꽃 피어 있었다

왜 피었느냐며 수 없이 물었지만 

민들레꽃은 말이 없었다

 

미워하면서 한참을 걸어오는데 대답 소리 들여왔다

너는 왜 사니 

왜 사느냐고?

민들레꽃이 악을 쓰고 있었다

 


 

 

▲ 정성수 시인     © 울산광역매일

유명 가수가 부른 노래 `일편단심 민들레야`가 공전의 히트했다. 노래는 트로트 곡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화암 류종판에 의하면 이 노래는 남편을 그리워하던 이주현이란 72세(1981년 당시) 여성이 가사 응모전에 투고한 글을 다듬은 것이라고 한다. 좌판을 하며 평생 모은 돈을 남편이 다닌 동아일보에 남편의 이름을 붙인 `수남기금장학금`이란 이름으로 기부했다. 이야기는 1981년 4월 28일 자 경향신문에 실린 `햇빛 본 할머니의 꿈`으로 발표되었다. 가사 내용 중 `그 여름의 광풍`은 1950년 6ㆍ25전쟁을 가리키는 말이고, `낙엽 지듯 가시었나`는 그해 가을 무렵 동아일보 총무국장이던 납북된 남편을 가리키는 것이다. `하늘만 바라보는 것`은 천국에 간 남편을 그리워함이다.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그 목소리`는 남편이 떠나면서 "걱정하지 마, 잘 다녀올게"라고 했던 그 목소리라고 한다. 이때부터 민들레는 일편단심一片丹心이라는 사자성어와 한 몸이 된 것이다. 예전에는 고려말 선죽교善竹橋에서 왕자 이방원李芳遠에게 철퇴로 맞고 죽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단심가丹心歌라는 시조에 등장하는 불변의 충심을 대변하는 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민들레의 일편단심은 한 사람으로만 향하는 꼿꼿한 사랑의 이데아를 만들었다. 민들레는 한의학에서 포공영蒲公英이라고한다. 포공영은 민들레꽃이 피기 전인 전초全草를 채취해서 말린 것이다. 포공영은 한방에서 생약으로 쓰고 있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2/05/01 [17:22]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