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아침 산책을 나서노라면 개를 데리고 나온 사람들을 많이 만난다. 개를 산보 시키러 나온 것인지, 아니면 사람 산보에 개를 데리고 나온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동물과 사람이 함께 아침을 누리고 있으니 좋은 일이다. 우리네 한국 사람들은 길을 가다가 남의 개를 만나면 우선 조심부터 한다. 뇌리 속에 개는 본래 집을 지키는 사나운 녀석이라는 인식이 있어서일 게다. 그런데 여기 개들은 큰 덩치와 상관없이 대부분 순하니 참 좋다. 개도 사람을 닮는다고 하던데, 캐나다나 미국 사람들이 한국 사람들보다 더 온순하고 순둥이들인지…
그런데 참 재미있는 것은, 개를 유심히 보노라면 그 모습이나 걷는 모양이 어째 그리 주인을 닮았을까! 오래도록 음식과 마음을 함께 나누고 삶을 공유하며 교감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어느 동물학자가 이런 점을 연구해서 우리를 좀 납득시켜 주었으면 좋겠다. 산보 중에 맞은편에서 개가 다가오면, 나는 으레 그 녀석 참 예쁘게 생겼다고, 혹은 참 영리하게 생겼다고 인사를 건넨다. 물론 기쁘자고 하는 인사다. 손해 볼 일은 전혀 없는 거니까. 그런데 개 주인 치고 자기 개 예쁘다는 말을 무심코 흘려듣는 사람은 지금까지 한번도 못 봤다. 귀가 시원찮아 보이는 사람 마저도 그 소리는 참 잘 알아듣는다.
자기가 예쁘다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도 좋은지! 처음 보는 사람도 거의 예외 없이 마치 그런 칭찬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기나 했다는 듯이, 가던 길을 멈추고 침이 마르도록 자기 개 자랑을 한다. 사실 들어보면 별 특별한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개가 그 정도는 영리하고 충성스럽고 사랑스러운 것인데 말이다. 하기야 누구나 자기 새끼가 제일 예쁘다고 한다, 굳이 고슴도치까지 들먹이지 않아도… 그런데 사람들이 왜 개를 그리도 좋아할까? 꼭 자기 자식 마냥 위하고 지극 정성으로 아끼니 말이다. 물론 귀엽고 깜찍하게 생긴 녀석들도 있고, 충직하고 사회성이 유독 발달한 개들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는, 물론 주인에게는 절대 얘기하지는 않지만, 그 개가 좀 더 예쁠 수도 있겠다, 혹은 좀 더 영리할 수도 있겠다 싶은 녀석들도 확실히 있다. 그래도 그 주인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개를 최고로 알고 귀히 여긴다. 사람이 개에게 왜 그리 사랑과 정성을 쏟는 것일까. 여러 얘길 할 수 있겠지만, 혹시 보편화된 핵가족 제도, 좀 더 잘 살아 보겠다고 저마다 바쁘게 뛰다가 잃어버리고 망가진 관계들, 피차의 무관심에서 비롯된 상실감, 소외감에 대한 반작용, 그리고 애틋한 정서에 대한 갈망, 이런 이유들이 순진하고 충직해 보이는 개에게 더 애착을 두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인간 대용품이 있어서 다행이긴 한데, 한편으로는 좀 씁쓸한 기분이다.
우리의 아픈 현실이 적나라하게 노출되는 것 같아서 그렇다. 한국에서의 이야기다. 미국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마치고 귀국한 두 친구들을 위한 환영회가 있었다. 어떤 동료가 짓궂은 말을 했다. “오래 나가 있었으니 이제 접시 닦는 일에는 익숙해졌겠구먼! 그런데 자네도 아내에게 그렇게 시도 때도 없이 ‘I love you.’라고 하나?” 껄껄 웃다가 뜸을 좀 들이더니 그 친구가 이렇게 말한다. “그게 모두 다 로맨틱한 것만은 아니더라구. 처음에는 근사해 보이더니, 알고 보니 이혼율이 그중 심한 나라도 그 나라야. 그리고 돌아서면 그냥 아주 남이야. 그 사람들은 헤어지면서 상처를 입기나 하는지 모르겠어.
그동안 날마다 입버릇 마냥 읊어 대던 그 'I love you.'가 진실이었었는지 그것도 잘 모르겠고!…” 하는 것이다. “이기주의와 개인주의에 익숙해서 어느덧 부부간에도 사실은 마음 놓고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마음속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불안한 심리의 표출인지도 모르지... 자기가 ‘I love you.’라고 표현하면서 상대의 사랑도 수시로 확인해야만 마음이 놓여서 그럴 수도 있고…” 물론 그는 사견이라 전제를 했지만, 난 하루 종일 상념에 젖어 씁쓸함을 떨칠 수 없었다. 곰곰이 되씹어 볼수록 일리가 있는 분석인 것 같아서 그랬다. 그렇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누구 할 것 없이 한없이 외롭고 지쳤다. 따지고 보면 어떤 면에서 사람은 눈물이 날 정도로 가련한 존재들이다. 모두들 간신히 살아가고 있다. 명예와 재물이 남부럽지 않아 보이는 이도 한 꺼풀 벗겨보면 마찬가지다.
그래서 조그만 격려나 위로라도 절실히 필요하다. 기댈 수 있는 언덕들이 있으면 좋겠다. 피차 용기를 북돋우는 것이 매우 요긴하다. 사실은 우리가 다 아는 얘기다... 조금씩 북돋우고 받쳐주면 우리가 사는 세상이 훨씬 더 살만한 곳이 되지 않을까… 그래, 격려, 사랑한다는 말이 그립다. 오늘 당신이 참 우아해 보인다, 옷 매무새가 아주 세련되었네, 난 네가 참 좋더라, 한 주일 내내 네가 많이 보고 싶었다, 문득 네 생각이 나서 전화를 했어, 파트락 음식이 정말 맛있었다, 당신을 위해 기도하겠습니다, 오늘 말씀 정말 감사했습니다… 어느 것이라도 좋다. 어쩌면 잘 안 해보던 일이어서 어색하기도 하겠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자, 미루지 말고 오늘부터, 널 위해서 날 위해서. 그럼 세상이 달라진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