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형 칼럼 >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중국의 ‘인터넷 플러스(+) 정책’을 주목하라
 
이창형 울산대 경제학과 교수/수필가   기사입력  2015/06/14 [17:16]
▲이창형 울산대 경제학과 교수/수필가
최근 중국 정부는 중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인터넷 플러스(+) 행동계획‘을 발표하면서, ‘인터넷 플러스(+)’란 인터넷 플랫폼, 정보통신 등 정보기술을 활용해 인터넷을 모든 산업과 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경제발전 생태계를 창조하는 전략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앞으로 인터넷,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정보기술을 전통 제조업과 융합하여 IT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공간을 확보하고, 제조업 등 전통산업의 혁신을 도모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며 중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어 왔던 제조업이 인건비 상승, 중국경제의 성장세 둔화, 글로벌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위기에 몰리게 된 것이 ‘인터넷 플러스’ 행동계획을 발표한 배경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더해 중국은 향후 30년 내에 제조대(大)국에서 제조강(强)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중국제조 2025 계획‘의 첫 단계인 2025년까지 세계 2위 제조업 강국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제 중국은 양적속도 중심의 성장정책에서 탈피하여 질적 성장을 핵심으로 하는 ‘중국제조 2025 계획’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이미 인터넷시장 규모가 1조 위안을 돌파하였으며, 2018년에는 2조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현재 중국의 네티즌 규모는 6억4900만 명으로 인터넷 보급률이 47.9%에 이르고 있으며, 모바일네티즌 수는 5억5700만 명으로 모바일인터넷 보급률이 85.8%에 달하고 있어 ‘인터넷 플러스(+)’ 행동 계획을 뒷받침할만한 충분한 시장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중국에서는 최근 인터넷과 결합한 신종 업태가 잇따라 출현하고 있으며, 인터넷 금융, 온라인 교육, 스마트 설비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 중에서도 핀테크(모바일 결제서비스)를 포함한 인터넷 금융이 급격한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으며, 2014년 중 중국의 제3자 인터넷 지불결제 규모는 전년대비 50.3% 급증한 8조767억 위안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앞으로 중국은 모바일 인터넷 및 빅데이터 등 첨단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노동집약형 제조업에서 벗어나 기술집약형의 스마트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 힘입어 위기에 몰린 제조업은 물론 중국 산업 전반에 걸쳐 괄목할만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주목된다. 아울러 중국은 지역 곳곳에 전자상거래 기지를 건설하여 농촌과 중소도시 등 지역경제를 되살리겠다는 의지도 엿보인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지역 전자상거래를 발전시켜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함으로써 공업제품과 일반 소비제품이 지역으로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중앙정부의 전략에 맞춰 중국의 지방정부들도 전통산업과 전자상거래를 융합하는 등 여러 가지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베이징시(北京市)는 지역의 쇼핑몰, 편의점 등 전통 유통업과 전자상거래의 융합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상하이시(上海市)는 인터넷 서비스와 지방 행정을 융합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목표로 인터넷을 통한 날씨 등 정보의 공개와 민원 업무 처리, 여권 신청, 세금 납부 등 행정서비스를 핸드폰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할 모양이다. 
 
중국의 새로운 성장정책 추진은 제조업이 위기상황에 처해있는 울산경제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울산경제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의 핵심은 전통제조업과 인터넷 기술을 융합하는 ‘스마트 제조업’이 되어야 할 것이며, 현재 수출시장에서 대외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3대 주력업종은 인터넷을 결합한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방정부는 제조업과 인터넷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부가가치 산업을 적극 유치함으로써 기존의 3대 주력산업을 대체할 수 있도록 모든 정책적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인터넷 서비스와 지방 행정을 융합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에도 적극 힘써야 할 것이다.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5/06/14 [17:16]   ⓒ 울산광역매일
 
롯데백화점 울산점 https://www.lotteshopping.com/store/main?cstrCd=0015
울산공항 https://www.airport.co.kr/ulsan/
울산광역시 교육청 www.use.go.kr/
울산광역시 남구청 www.ulsannamgu.go.kr/
울산광역시 동구청 www.donggu.ulsan.kr/
울산광역시 북구청 www.bukgu.ulsan.kr/
울산광역시청 www.ulsan.go.kr
울산지방 경찰청 http://www.uspolice.go.kr/
울산해양경찰서 https://www.kcg.go.kr/ulsancgs/main.do
울주군청 www.ulju.ulsan.kr/
현대백화점 울산점 https://www.ehyundai.com/newPortal/DP/DP000000_V.do?branchCd=B00129000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